W3C 접근성 지침 (WCAG) 3.0

W3C 작업 초안

이 문서에 대한 추가 정보
이 버전:
https://www.w3.org/TR/2025/WD-wcag-3.0-20250904/
최신 공개 버전:
https://www.w3.org/TR/wcag-3.0/
최신 편집자 초안:
https://w3c.github.io/wcag3/guidelines/
변경 내역:
https://www.w3.org/standards/history/wcag-3.0/
커밋 내역
편집자:
(미국 의회도서관)
(Oracle)
(Nomensa)
(W3C)
(TetraLogical)
(Intel Corporation)
이전 편집자:
Michael Cooper, 직원 연락처, 2016-2023 (W3C)
Shawn Lauriat, 편집자, 2016-2023 (Google, Inc.)
Wilco Fiers, 프로젝트 매니저, 2021-2023 (Deque Systems, Inc.)
피드백:
GitHub w3c/wcag3 (풀 리퀘스트, 새 이슈, 오픈 이슈)
public-agwg-comments@w3.org 제목 [wcag-3.0] … 메시지 주제 … (아카이브)

요약

W3C 접근성 지침(WCAG) 3.0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웹 콘텐츠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권장 사항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지침을 따르면 시각 장애, 저시력 및 기타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및 난청; 움직임 및 손재주 제한; 언어 장애; 감각 장애; 인지 및 학습 장애; 그리고 이 장애들의 조합 등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 이 지침은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웹 사물 기기에서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다룹니다. 지침은 정적, 동적, 인터랙티브, 스트리밍 콘텐츠; 시청각 미디어; 가상 및 증강 현실; 대체 접근 방식의 프레젠테이션 및 제어 등 다양한 유형의 웹 콘텐츠에 적용됩니다.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브라우저와 보조 기술), 콘텐츠 관리 시스템, 저작 도구, 테스트 도구와 같은 관련 웹 도구도 다룹니다.

이 표준의 각 지침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문서화된 사용자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성 실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침은 여러 요구사항판정으로 지원되며, 요구가 충족되었는지 판단합니다. 지침은 각 요구사항이나 판정을 충족하기 위한 기술별 방법으로도 지원됩니다.

기술 변화에 맞춰 이 규격은 새로운 요구를 다루는 업데이트와 새로운 방법, 요구사항, 지침으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이 지침에 대해 공식적 준수(conformance)를 주장하는 기관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의 다양성과 수행되는 테스트 유형에 대응하는 여러 수준의 준수(conformance) 단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WCAG 3에 대한 개요와 기술 및 교육 자료 링크는 WCAG 3.0 소개를 참고하세요.

문서 상태

이 섹션은 문서가 공개될 당시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현재 W3C 출판물과 이 기술 보고서의 최신 개정판 목록은 W3C 표준 및 초안 색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W3C 접근성 지침(WCAG) 3.0의 업데이트입니다. 개발 단계에 도달한 모든 요구사항을 포함합니다.

의견을 남기려면 wcag3 GitHub 저장소에서 이슈를 등록하세요. 각 의견마다 별도의 GitHub 이슈를 생성하고, 여러 주제를 하나의 이슈에 작성하지 마세요. 이슈 등록을 위해 GitHub 계정을 만드는 것은 무료입니다. GitHub에 이슈 등록이 어렵다면, public-agwg-comments@w3.org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의견 아카이브).

지침의 진행 중인 업데이트는 공개 편집자 초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Accessibility Guidelines Working Group권고 트랙을 따라 작업 초안으로 발행한 것입니다.

작업 초안으로 발행되었다고 해서 W3C 및 회원의 승인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는 초안이며 언제든지 업데이트, 대체, 폐기될 수 있습니다. 진행 중인 작업 외의 문서로 인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는 W3C 특허 정책을 준수하는 그룹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W3C공개 특허 공개 목록을 유지하며, 해당 그룹 산출물과 관련된 모든 특허 공개 내역을 볼 수 있고, 특허 공개 방법 안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정 특허가 필수 청구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개인은 W3C 특허 정책 6조에 따라 정보를 공개해야 합니다.

이 문서는 2025년 8월 18일 W3C 프로세스 문서의 적용을 받습니다.

1. 소개

이 섹션(및 하위 섹션)은 조언만을 제공하며, 지침을 명시하지 않습니다. 즉, 참고용 또는 비규범적(informative, non-normative)입니다.

소개의 쉬운 언어 요약

소개 요약 끝

1.1 이 초안에 대하여

이 초안에는 개발 단계에 진입한 잠재적 지침, 요구사항, 판정(assertion) 목록이 업데이트되어 있습니다.

탐색(Exploratory) 상태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이 작업 초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전체 목록을 보고 싶다면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이 초안을 검토할 때 다음 질문을 고려해 주세요:

추가로, 워킹 그룹은 요구사항이나 판정을 뒷받침하는 연구도 환영합니다.

피드백을 남기려면 WCAG 3 GitHub 저장소에 새 이슈를 등록해 주세요. 각 주제마다 별도의 GitHub 이슈를 생성하고, 여러 주제를 하나의 이슈에 작성하지 마세요.

GitHub 사용이 어려운 경우, public-agwg-comments@w3.org로 메시지 본문에 의견을 적어 보내주세요(의견 아카이브). 첨부파일로 보내지 말고, 메시지 본문에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1.1 초안 요구사항

요구사항 목록은 WCAG 2의 성공 기준(success criteria) 목록보다 더 깁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 단계에서는 가능한 많은 잠재적 요구사항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목적이며,
  • WCAG 3.0의 요구사항이 WCAG 2의 성공 기준보다 더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WCAG 3.0의 최종 요구사항 세트는 이 초안과 다를 것입니다. 요구사항은 추가, 병합, 제거될 수 있고, 문구 역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일부 요구사항만이 기본 준수 수준을 충족하는 데 사용됩니다.

1.1.2 섹션 상태 수준

WCAG 3.0 초안 작성 과정에서, 이 문서의 각 규범적 섹션에는 상태가 부여됩니다. 이 상태는 해당 섹션이 개발 단계에서 어느 정도에 있는지, 실험적 적용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그리고 접근성 지침 워킹 그룹이 어떤 종류의 피드백을 원하는지 나타냅니다.

  • 플레이스홀더: 이 내용은 임시입니다. 여기서 기대할 수 있는 콘텐츠 유형을 보여줍니다. 모두 교체될 예정입니다. 플레이스홀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탐색: 이 내용은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세부사항과 정의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워킹 그룹은 이 섹션의 방향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제안된 방향에 대한 피드백을 주시면 됩니다.
  • 개발: 이 내용은 해당 섹션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대략적으로 합의된 상태입니다. 고차원의 이슈가 모두 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세부사항이 추가되었지만, 아직 완전히 정리되지는 않았습니다. 섹션이 넓은 의미에서 사용 가능하고 합리적인지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 정제: 이 내용은 광범위한 공개 검토 및 실험적 적용에 준비되었습니다. 워킹 그룹은 이 섹션에 대해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구현 가능성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 완성: 이 내용은 워킹 그룹이 권고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내용입니다. 이 섹션에 대한 피드백은 워킹 그룹이 예측하지 못한 극단적 상황(edge-case)에 집중해 주세요.

1.2 WCAG 3.0에 대하여

이 규격은 장애인이 웹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새로운 모델과 지침을 제시합니다. W3C 접근성 지침(WCAG) 3.0은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지원하고, 새로운 테스트 방식을 사용하며, 지침과 관련 콘텐츠를 자주 유지보수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에 맞출 수 있도록 합니다. WCAG 3.0은 기능적 요구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변화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요구는 결과 진술, 요구사항, 판정(assertion), 그리고 기술별 방법(method)으로 작성된 지침으로 뒷받침됩니다.

WCAG 3.0은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2 [WCAG22] 및 이전 버전의 후속 버전이지만, 폐지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일부 콘텐츠를 통합하고 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 2.0 [UAAG20] 및 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 2.0 [ATAG20]의 일부를 확장할 예정입니다. 이전 버전은 15년 이상 관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연한 모델을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변화와 장애인 요구의 변화로 인해 콘텐츠 접근성을 보다 포괄적이고 유연하게 다루기 위한 새로운 모델이 필요해졌습니다.

WCAG 2와 WCAG 3.0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WCAG 3.0 지침은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기타 웹 사물 기기에서 웹 콘텐츠 접근성을 다룹니다. 지침은 정적, 동적, 인터랙티브, 스트리밍 콘텐츠; 시각 및 청각 미디어; 가상 및 증강 현실; 대체 접근 프레젠테이션 및 제어 방식 등 다양한 콘텐츠 유형에 적용됩니다.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브라우저와 보조 기술), 콘텐츠 관리 시스템, 저작 도구, 테스트 도구 등 관련 웹 도구도 다룹니다.

이 표준의 각 지침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문서화된 사용자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성 실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침은 여러 요구사항으로 지원되며, 요구가 충족되었는지 판단합니다. 지침은 각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기술별 방법으로도 지원됩니다.

WCAG 2.2의 A 및 AA 수준을 준수하는 콘텐츠는 이 새로운 표준의 최소 준수 수준 대부분을 충족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WCAG 3.0에는 추가 테스트 및 다른 점수 체계가 있으므로 완전한 준수를 위해서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표준이 다른 준수 모델을 사용하므로, 접근성 지침 워킹 그룹은 일부 기관은 WCAG 2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다른 기관은 새 표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WCAG 3로 이전하려는 기관을 위해 워킹 그룹에서는 이전 지원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며, 맵핑이나 기타 방법을 활용해 이전을 도울 수 있습니다.

2. 지침개발중

이 섹션(및 하위 섹션)은 명세에 적합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요구사항을 제공합니다. 즉, 규범적입니다.

지침의 쉬운 언어 요약

다음 지침들은 WCAG 3.0을 위해 고려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앞으로의 초안에서 더 자세히 탐구할 주제 목록입니다. 목록에는 기존 WCAG 2의 가이드와 추가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목록은 향후 초안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안내가 없는 한, 요구사항은 설명된 콘텐츠가 시각적으로도 프로그램적으로도 제공된다고 가정합니다.

지침 요약 끝

편집자 주

WCAG을 사용하는 개인과 조직은 웹 디자이너 및 개발자, 정책 입안자, 구매 담당자, 교사, 학생 등 매우 다양합니다. 이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결과 진술로 작성된 지침, 테스트 가능한 요구사항, 판정(assertion), 다양한 방법(method), 자료 링크, 코드 예시 등 여러 층의 안내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아래 목록은 워킹 그룹이 탐구할 잠재적 지침과 요구사항의 초기 세트입니다. 목표는 다음 작업 단계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초안이며 WCAG 3.0의 최종 내용으로 간주해서는 안 됩니다.

일반적으로 탐색적 콘텐츠에는 각 항목별로 우려 사항과 질문을 나열한 편집자 주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 지침 섹션은 WCAG 3.0 작업 초기에 해당하므로, 이 편집자 주가 이 섹션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별도의 안내가 없으면 모든 항목은 탐색 단계로 간주됩니다. 이는 고려할 수 있는 모든 주제의 목록입니다. 나열된 모든 항목이 WCAG 3.0의 최종 버전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지침 및 요구사항 목록은 워킹 그룹이 연구 및 분석한 사용자 요구에서 도출되었습니다. 아직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필수 예외나 방법(method)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부 요구사항은 저작 도구나 플랫폼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많은 요구사항은 범위를 더 명확히 하고, 여러 언어, 문화, 문체에 제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각 요구사항을 더 탐구하며 이 문제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추가 연구

이 목록을 공개하는 목표 중 하나는 현재 연구의 격차를 파악하고, 그 격차를 메우기 위한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편집자 주에서는 워킹 그룹이 충분한 연구를 찾지 못해 안내를 완전히 검증하거나 지원 방법(method) 개발에 필요한 추가 작업이 필요한 요구사항을 표시합니다. 관련 연구를 알고 있거나, 이 분야 연구에 관심이 있으시면 GitHub 이슈를 남기거나 public-agwg-comments@w3.org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의견 아카이브).

2.1 이미지 및 미디어 대안개발중

지침 2.1.1 이미지 대안

사용자는 이미지에 대한 동등한 대안을 제공받아야 합니다.

어떤 기본 요구사항이 적용됩니까?

이미지에 대해:

  1. 이미지를 제거하면 페이지 이해에 영향을 줍니까?
  2. 이미지가 사용자 에이전트보조 기술에서 접근 가능하게 제공됩니까?
  3. 이미지에 대해 동등한 텍스트 대안이 제공됩니까?
기본 요구사항: 장식적 이미지개발중

장식용 이미지프로그램적으로 숨겨집니다.

기본 요구사항: 동등한 텍스트 대안개발중

동등한

텍스트 대안
내용을 전달하는 이미지에 대해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감지 가능한 이미지개발중

이미지프로그램적으로 식별 가능해야 합니다.

Guideline 2.1.2 미디어 대안

사용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동등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설명적 대본개발중

설명적 대본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동등한 미디어 대안개발중

미디어 대안 콘텐츠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와 동등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찾을 수 있는 미디어 대안개발중

사용자가 미디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메커니즘이 최소 하나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제어 가능한 미디어 대안개발중

미디어 대안을 켜고 끌 수 있는 메커니즘이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화자 신원개발중

화자는 미디어 대안에서 식별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언어 식별됨개발중

둘 이상의 언어가 오디오 콘텐츠에서 사용될 때, 각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미디어 대안에서 식별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모든 구어 언어의 미디어 대안개발중

미디어 대안오디오 콘텐츠에서 사용된 모든 구어 언어로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의미 있는 소리개발중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소리는 미디어 대안에서 식별 또는 설명됩니다.

편집자 주

여기에는 효과음 등 비구어 오디오 콘텐츠가 포함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의미 있는 시각 정보개발중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각 정보 중 오디오 콘텐츠에 설명되지 않은 정보는 미디어 대안에 포함됩니다.

편집자 주

여기에는 동작, 차트나 정보성 시각 자료, 장면 전환,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등이 포함됩니다.

판정: 미디어 대안 스타일 가이드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는 미디어 대안 관련 안내가 포함된 스타일 가이드를 따릅니다.

판정: 사용자와 함께 미디어 대안 테스트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는 미디어 대안이 필요한 사용자와 테스트를 진행하고, 결과에 따라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 각 사용자별 장애 유형
  • 각 장애 유형별 사용자 수
  • 테스트 날짜
  • 결과에 따라 수정한 사례
판정: 비디오 플레이어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는 적절한 미디어 대안을 지원하는 비디오 플레이어를 제공합니다. 비디오 플레이어에는 다음 기능이 포함됩니다 [적용 가능한 모든 기능 나열]:

  • 표준 자막 형식의 폐쇄 자막 지원
  • 자막 켜기/끄기
  • 음성 설명 켜기/끄기
  • 자막 스타일 조절(글꼴 크기, 굵기, 스타일, 색상, 배경색, 배경 투명도, 위치 등)
  • 자막 위치 변경
  • 음성 설명 언어 변경
판정: 콘텐츠 작성자 검토개발중

콘텐츠 작성자가 미디어 대안을 검토했습니다.

  • 제작자의 역할
  • 각 역할별 제작자 수
  • 검토 날짜(기간)
  • 피드백을 기반으로 수정한 사례

Guideline 2.1.3 비텍스트 대안

사용자는 맥락 또는 의미를 전달하는 텍스트가 아니거나 이미지가 아닌 콘텐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4 자막

사용자는 자막오디오 콘텐츠에 대해 제공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사전 녹음 자막개발중

자막은 모든 사전 녹음된 오디오 콘텐츠에 대해 제공되며, 오디오 콘텐츠가 텍스트의 대안이고 명확하게 라벨링된 경우는 제외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실시간 자막개발중

자막은 모든 실시간 오디오 콘텐츠에 대해 제공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자막 가림 방지개발중

자막비디오 콘텐츠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각 정보를 가리지 않도록 화면에 배치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일관된 자막개발중

자막은 미디어 전체와 관련된 제작물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제공되며, 필수 예외가 없는 한 일관된 스타일과 위치, 화자·언어·소리 식별 방법을 포함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조절 가능한 자막개발중

자막의 모양(연관된 시각적 표시 포함)은 글꼴 크기, 굵기, 스타일, 색상, 배경색, 배경 투명도, 위치 등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360 위치 자막개발중

360도 디지털 환경에서는 자막이 항상 사용자의 바로 앞에 위치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360도 공간의 시각적 표시개발중

360도 디지털 환경에서 소리나 음성이 현재 외부에서 들릴 때 그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합니다.

Guideline 2.1.5 오디오 설명

사용자는 오디오 설명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제공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사전 녹음 오디오 설명개발중

오디오 설명은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콘텐츠에 대해 사전 녹음된 비디오에 제공됩니다. 단, 비디오 콘텐츠가 텍스트의 대안이고 명확하게 라벨링된 경우는 제외합니다.

편집자 주

WCAG 3은 오디오에 오디오 설명을 삽입할 수 있는 간격이 없는 비디오 콘텐츠를 어떻게 처리할지 명시해야 합니다. 두 가지 가능한 해결책은 콘텐츠 작성자가 대신 설명적 대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예외를 제공하거나, 콘텐츠 작성자에게 확장 오디오 설명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디오 설명 타이밍개발중

오디오 설명비디오 콘텐츠와 동기화되며, 대화 및 의미 있는 오디오 콘텐츠와 겹치지 않습니다.

보조 요구사항: 실시간 오디오 설명개발중

오디오 설명은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콘텐츠에 대해 실시간 비디오에 제공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확장 오디오 설명개발중

사운드트랙의 기존 정지가 충분히 길지 않은 경우, 비디오를 일시정지하여 오디오 트랙을 확장하고,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각 정보를 설명하는 확장 오디오 설명을 제공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오디오 설명 볼륨개발중

사용자가 비디오오디오 설명 볼륨을 오디오 볼륨과 별개로 조절하거나, 여러 언어가 제공되는 경우 오디오 설명 언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오디오 설명 언어개발중

사용자가 여러 언어 중에서 오디오 설명 언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됩니다.

Guideline 2.1.6 도표 자막

사용자는 도표에 포커스가 있지 않더라도 도표 자막을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7 단일 감각

사용자는 단일 감각이나 인지에만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2.2 텍스트 및 문구

Guideline 2.2.1 텍스트 모양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렌더링된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본 요구사항이 적용됩니까?

각 텍스트의 단어에 대해:

  1. 텍스트가 순전히 장식용이거나, 누구도 읽을 수 없습니까?
    • 예, 통과
    • 아니오, 계속
  2.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이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합니까?
    1. 예,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은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기본)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기본)을 충족합니다. 계속
    2. 아니오, 실패
  3. 사용자가 텍스트 모양을 조정할 수 있습니까?
    1. 예, 텍스트는 사용자 조작 가능한 텍스트여야 하며:
      1. 접근성 지원 세트가 다음을 충족합니다:
        1. 조절 가능한 텍스트 블록
        2. 조절 가능한 텍스트 스타일
      2. 텍스트 조정으로 콘텐츠와 기능이 손실되지 않음
      3. 통과
    2. 예, 제품에서 제공하는 테마를 통해:
      1. 조절 가능한 텍스트 블록
      2. 조절 가능한 텍스트 스타일
      3. 텍스트 조정으로 콘텐츠와 기능이 손실되지 않음
      4. 통과
    3. 아니오, 그리고 제품이 자체 테마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1. 실패.
기본 요구사항: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개발중

텍스트 블록의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합니다.

편집자 주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기본)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기본)은 일반적 사용 기반이며, 그 보조 항목은 가독성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들 언어에 대한 더 많은 가독성 연구가 필요합니다.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인라인 여백
블록 여백 문단 주변 ≥0.5em
줄 길이 30–100자
줄 높이 1.0 – 문단 분리 높이
정렬 왼쪽 정렬 또는 양쪽 정렬
기본 요구사항: 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개발중

텍스트의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합니다.

편집자 주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기본)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기본)은 일반적 사용 기반이며, 그 보조 항목은 가독성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들 언어에 대한 더 많은 가독성 연구가 필요합니다.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글꼴 서체
글꼴 크기 수직 시야각 ≥0.2°(일반 데스크톱 시청 거리 기준 약 10pt)
글꼴 폭
텍스트 장식 대부분의 텍스트는 굵게, 기울임, 밑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자간
대문자화
하이픈
기본 요구사항: 조절 가능한 텍스트 블록개발중

텍스트 블록의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하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사용자가 모양을 재정의하면 정보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구조가 의미를 전달하도록 보장하는 [다른 구조 지침]을 참조하세요.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인라인 여백
블록 여백
줄 길이
줄 높이
정렬 해당 없음 왼쪽 정렬
기본 요구사항: 조절 가능한 텍스트 스타일개발중

아래 글꼴 기능 각각의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하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사용자가 모양을 재정의하면 정보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구조가 의미를 전달하도록 보장하는 [다른 구조 지침]을 참조하세요.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밑줄
  • 완전히 비활성화
  • 링크에만 활성화
  • 링크 및 작성자가 정의한 :term[text]에 활성화
기울임꼴 비활성화됨
굵게 비활성화됨
글꼴 서체
글꼴 폭
자간
대문자화
  • 문장형 대소문자
  • 제목형 대소문자(헤딩, 제목), 그 외 모든 텍스트는 문장형
자동 하이픈 나누기 비활성화됨
기본 요구사항: 텍스트 조정으로 콘텐츠와 기능이 손실되지 않음개발중

콘텐츠와 기능은 조절 가능한 텍스트 블록조절 가능한 텍스트 스타일에 따라 콘텐츠를 조정할 때도 손실되지 않습니다.

보조 요구사항: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향상)개발중

텍스트 블록의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합니다.

편집자 주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기본)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기본)은 일반적 사용 기반이며, 그 보조 항목은 가독성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들 언어에 대한 더 많은 가독성 연구가 필요합니다.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인라인 여백
블록 여백
줄 길이
줄 높이
정렬 왼쪽 정렬
보조 요구사항: 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향상)개발중

텍스트의 기본/작성자 지정 표현은 콘텐츠의 언어(또는 가장 유사한 표기 체계를 가진 언어)의 해당 값을 충족합니다.

편집자 주

읽기 쉬운 텍스트 블록(기본)읽기 쉬운 텍스트 스타일(기본)은 일반적 사용 기반이며, 그 보조 항목은 가독성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들 언어에 대한 더 많은 가독성 연구가 필요합니다.

편집자 주

다음 표의 지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용은 예시입니다.

특성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힌디어 러시아어
글꼴 서체
글꼴 크기 수직 시야각 ≥0.2°(일반 데스크톱 시청 거리 기준 약 10pt)
글꼴 폭
텍스트 장식 대부분의 텍스트는 굵게, 기울임, 밑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자간
대문자화
하이픈

Guideline 2.2.2 텍스트 음성 변환

사용자는 텍스트 음성 변환 도구로 텍스트 콘텐츠와 그 의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 애매하지 않은 숫자 형식개발중

숫자 정보는 날짜, 온도, 시간, 로마 숫자를 제시할 때 혼동을 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문맥을 포함합니다.

Guideline 2.2.3 명확한 언어개발중

사용자는 복잡하거나 불명확한 언어를 처리하지 않고도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지침에는 시적, 성서적, 예술적 등 주된 목적이 정보 제공이 아닌 표현인 콘텐츠에 대한 예외가 포함됩니다.

편집자 주

또한: 구조를 참조하세요. 이 지침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이 다양한 언어에서 잘 작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AG, COGA, 국제화(i18n) 구성원은 지침을 압박 테스트(pressure-test)할 초기 언어 세트에 합의했습니다.

다섯 가지 “가드레일” 언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랍어
  • 영어
  • 힌디어
  • 만다린
  • 러시아어

우리는 유엔(UN)의 6개 공용어로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는 영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힌디어는 UN 목록에 없지만 가장 흔히 사용되는 언어이므로 추가했습니다.

이 다섯 언어 그룹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언어적 특징을 포함합니다: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텍스트 레이아웃
  • 세로 텍스트 레이아웃
  • 의미에 영향을 주는 성조

이 목록이 모든 언어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지만, 작업을 관리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더 넓은 청중에게 지침을 유용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W3C의 Global Inclusion 커뮤니티 그룹, 국제화(i18n) 태스크포스 등과 함께 이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와 기법을 검토하고 개선할 것입니다. 또한 향후 더 많은 언어로 지침을 번역하기 위한 안내도 만들 계획입니다.

기본 요구사항: 불필요한 단어 없음개발중

문장에는 불필요한 단어나 구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중첩 절 없음개발중

문장에는 중첩된 절이 없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일반 단어개발중

일반 단어를 사용하며, 드문 단어에는 정의를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요구사항에는 대상 독자를 위한 일반 단어를 식별하는 테스트와 기법이 포함될 것입니다. 대상 독자는 일반 대중일 수도 있고 아동이나 전문가와 같은 특수 집단일 수도 있습니다.

예: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에서 일반 단어로 간주할 것을 결정하는 한 가지 기법은 고빈도 말뭉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말뭉치는 아랍어, 힌디어, 만다린, 러시아어뿐 아니라 미국 영어, 영국 영어, 캐나다 영어 등 많은 언어에 존재합니다. 고빈도 말뭉치가 없는 언어에 대해서는 예외가 적용될 것입니다.

기본 요구사항: 약어개발중

약어는 처음 사용할 때 설명하거나 풀어 씁니다.

기본 요구사항: 비유적 언어개발중

관용구, 은유 등의 비유적 언어에 대해서는 설명 또는 모호하지 않은 대안이 제공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수치 정보 대안개발중

통계와 같은 수치 정보에 대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판정: 시각적 보조자료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프로세스, 워크플로, 관계, 연대기 정보와 같은 복잡한 개념이 포함된 작성된 콘텐츠를 검토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보조적인 시각 자료를 추가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요약개발중

일정 길이를 초과하는 문서 및 기사에는 요약이 제공됩니다.

편집자 주

요약이 필요해지는 단어 수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길이는 콘텐츠에 사용된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조 요구사항: 명확한 의미개발중

단어의 올바른 의미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문자 또는 발음 기호가 제공됩니다.

편집자 주

이는 주로 아랍어와 히브리어와 같은 언어에 적용됩니다.

판정: 검토 프로세스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게시 전에 명확한 언어 사용을 위해 콘텐츠를 검토합니다.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데 AI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텐츠가 명확하고 의도한 의미를 전달한다고 사람이 검토하고 확인하는 문서화된 절차를 갖추고 있습니다.

판정: 명확한 언어 스타일 가이드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명확한 언어에 대한 안내와 편집자가 스타일 가이드를 따라야 한다는 정책이 포함된 스타일 가이드를 따릅니다.

스타일 가이드는 명확한 단어뿐 아니라 숫자에 대한 지침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로마 숫자를 피하거나 설명하고, 콘텐츠 이해에 필수적이지 않은 수치 정보는 제거하며, 인지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돕기 위해 필수 수치 정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판정: 명확한 언어 교육 정책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명확한 언어에 대한 안내를 포함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며, 편집자는 정기적으로 해당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는 정책을 따릅니다.

판정: 쉬운 언어 검토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사용된 언어에 적합한 쉬운 언어 지침에 비추어 검토를 수행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 사용된 동사 시제가 문맥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지;
  • 콘텐츠가 짧은 문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 정보성 콘텐츠의 문단이 콘텐츠의 목표나 목적을 밝히는 문장으로 시작하는지.

2.3 인터랙티브 구성요소

Guideline 2.3.1 키보드 포커스 모양개발중

사용자는 어느 요소가 키보드 포커스를 갖는지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기본 요구사항이 적용됩니까?

포커스 가능한 각 항목에 대해:

  1. 사용자 에이전트의 기본 포커스 표시기를 사용합니까?
  2. 포커스 표시기가 작성자에 의해 정의되었습니까?
Foundational requirement: 사용자 지정 표시기개발중

사용자 지정 포커스 표시기는 충분한 크기, 대비 변화, 인접 대비, 구별되는 스타일 및 인접성을 갖추어 사용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사용자 에이전트 기본 표시기개발중

포커스 가능한 항목사용자 에이전트의 기본 표시기를 사용합니다.

Guideline 2.3.2 포인터 포커스 모양

사용자는 포인터 포커스의 위치를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3.4 예상 동작

사용자는 예상대로 동작하는 인터랙티브 구성요소를 사용합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3.5 제어 정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도, 그리고 보조 기술을 사용해서도 식별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갖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2.4 입력 / 동작

Guideline 2.4.1 키보드 인터페이스 입력

사용자는 키보드만 사용하여 콘텐츠를 탐색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모든 요소 키보드 동작 가능개발중

포인터, 오디오(음성 또는 기타), 제스처, 카메라 입력 또는 기타 수단으로 제어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는 모든 요소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로도 제어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모든 콘텐츠 키보드 접근 가능개발중

다른 입력 방식으로 접근 가능한 모든 콘텐츠키보드 인터페이스만으로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Note 1

모든 콘텐츠에는 호버, 우클릭 등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포함됩니다.

Note 2

다른 입력 방식에는 포인팅 장치, 음성 및 음성 인식, 제스처, 카메라 입력, 기타 모든 입력 또는 제어 수단이 포함됩니다.

Note 3

모든 요소 키보드 동작 가능 요구사항은 모든 동작 가능한 요소로 탐색할 수 있게 하지만, 다음 요소가 화면 5페이지 아래에 있다면 모든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콘텐츠가 확장되는 섹션에 있는 경우, 섹션을 여는 것뿐만 아니라 동작 가능한 요소만이 아니라 모든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양방향 탐색개발중

키보드 탐색을 사용하여 언제나 각 지점에서 앞으로와 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탐색이 대칭적이어야 한다는 요구(예: 앞으로 이동한 뒤 뒤로 이동하면 항상 같은 위치로 돌아오는 것)를 포함할지 검토 중이며, 이에 대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상충하는 키보드 명령개발중

작성자가 만든 키보드 명령은 표준 플랫폼 키보드 명령과 충돌하지 않거나, 재매핑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반응형일 때 키보드 탐색 가능개발중

페이지/가 반응형 디자인을 사용할 경우에도, 페이지/뷰는 완전히 키보드로 탐색 가능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키보드 트랩 없음개발중

일반적인 키보드 탐색 기법을 사용하거나, 해당 페이지/ 또는 이전에 사용된 프로세스 상의 페이지/뷰에 설명된 기법을 사용하여, 어떤 요소로 이동/진입/활성화한 후에도 그 요소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사용자 키보드 포커스 제어개발중

키보드 포커스가 이동할 때,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합니다:

  • 포커스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제어 하에 이동했다;
  • 대화상자 등의 새로운 가 나타나며 포커스가 그 뷰로 이동했다;
  • 포커스가 이동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잠재적 포커스 이동이 알리고, 이동을 피할 기회를 제공했다;
  • 일부 사용자 동작 완료 시 키보드 탐색 순서에서 다음 항목으로 자동 이동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관련 탭 순서 키보드 포커스개발중

키보드 탐색을 돕기 위해 특별히 추가된 스킵 링크 및 숨김 요소를 제외하고, 탭 이동은 탭 동작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콘텐츠키보드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습니다.

Note

아코디언, 드롭다운 메뉴, ARIA 탭 패널은 확장 가능한 콘텐츠의 예입니다. 이 요구사항에 따르면, 이들은 탭 순서에 포함된 요소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자동으로 확장되지 않습니다. 확장되지 않거나, 내부에 탭 순서 요소를 갖지 않아야 합니다.

Guideline 2.4.2 키보드 사용 시 신체 또는 인지적 노력

사용자는 불필요한 신체적 또는 인지적 노력 없이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논리적 키보드 포커스 순서개발중

키보드 포커스는 의미와 조작성을 보존하는 순서와 방식으로 콘텐츠를 이동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키보드 포커스 유지개발중

키보드 포커스가 한 컨텍스트에서 다른 컨텍스트로 페이지/ 내에서 자동 또는 사용자 요청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이전 컨텍스트로 돌아오면 해당 위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포커스는 이전 위치로 복원됩니다.

Note 1

이전 포커스 위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범 사례는 제거된 위치 바로 앞의 포커스 가능한 위치에 포커스를 두는 것입니다. 예: 문서의 주제 태그 목록에서 각 태그에 삭제 버튼이 있고, 사용자가 중간 태그의 삭제 버튼을 클릭해 태그를 삭제했을 때, 포커스는 삭제된 태그 앞에 있던 태그로 이동합니다.

Note 2

이는 페이지 사이를 이동할 때도 매우 유용하지만, 보통은 브라우저가 처리해야 합니다. 다만 사용자가 어떤 프로세스에 있는 경우, 쿠키나 서버에 이전 위치를 저장하여 페이지로 돌아왔을 때 예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Assertion: 비슷한 키보드 노력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만 사용할 때 필요한 입력 명령 수와 다른 입력 방식 사용할 때의 명령 수 차이를 최소화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따릅니다.

Note

다른 입력 방식에는 포인팅 장치, 음성 및 음성 인식, 제스처, 카메라 입력, 기타 모든 입력 또는 제어 수단이 포함됩니다.

Guideline 2.4.3 포인터 입력

포인터 입력은 일관되어야 하며, 모든 기능은 시간과 압력에 민감하지 않은 단순 포인터 입력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포인터 취소개발중

단순 포인터 입력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합니다:

다운 이벤트 없음
포인터다운 이벤트는 기능의 어떤 부분도 실행하지 않습니다
중단 또는 실행 취소
기능의 완료는 업 이벤트에서 이루어지며, 완료 전에 기능을 중단하거나 완료 후 기능을 실행 취소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제공됩니다
업 이벤트 되돌리기
업 이벤트는 이전 다운 이벤트의 결과를 되돌립니다
필수
다운 이벤트에서 기능을 완료하는 것이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단순 포인터 입력개발중

포인터 입력 중 단순 포인터 입력이 아닌 것을 사용하는 모든 기능은 시간 제약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 포인터 입력 또는 일련의 단순 포인터 입력으로도 조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Note 1

단순 포인터 입력이 아닌 입력의 예: 더블 클릭, 스와이프 제스처, 집기/스플릿 탭/두 손가락 로터 같은 다중 포인트 제스처, 가변 압력 또는 타이밍, 드래그 동작.

Note 2

복잡한 포인터 입력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작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Note 3

단순 포인터 입력은 싱글 포인터 입력과 다르며, 단순히 단일 포인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제한적입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일관된 포인터 취소개발중

페이지/ 집합 내의 각 상호작용 유형에 대해 포인터 취소 방식은 일관되어야 하며, 달라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를 제외합니다.

Note

달라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포인터 압력 대안개발중

특정 포인터 압력만이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되며, 특정 압력이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포인터 속도 대안개발중

특정 포인터 속도만이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되며, 특정 포인터 속도가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Guideline 2.4.4 음성 입력

음성 입력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 음성 제어를 용이하게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음성 대안개발중

음성 입력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어야 하며, 음성 입력이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실시간 양방향 음성 통신개발중

실시간 양방향 음성 통신이 있는 곳에서는, 실시간 텍스트 옵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Guideline 2.4.5 입력 동작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입력 기법과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으며, 그 사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포인터 장치로 키보드 포커스 변경개발중

콘텐츠포인터 또는 키보드 포커스에 대한 사용자 에이전트의 동작을 방해하는 경우, 포인터로 에서 무엇이든 선택하면 사용자가 요소에서 드래그해 벗어나(활성화를 피하기 위해)도 키보드 포커스는 해당 인터랙티브 요소로 이동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마우스 오버 또는 키보드 포커스 시 콘텐츠개발중

포인터 호버 또는 키보드 포커스를 받았다가 제거할 때 추가 콘텐츠가 나타났다가 숨겨지며, 추가 콘텐츠의 시각적 표현이 사용자 에이전트가 아닌 작성자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다음 모두를 충족합니다:

닫을 수 있음
추가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를 가리거나 대체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포인터 호버나 키보드 포커스를 이동하지 않고도 추가 콘텐츠를 닫을 수 있는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호버 가능
포인터 호버가 추가 콘텐츠를 트리거할 수 있는 경우, 포인터를 추가 콘텐츠 위로 이동해도 추가 콘텐츠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지속성
추가 콘텐츠는 호버 또는 키보드 포커스 트리거가 제거되거나, 사용자가 닫거나, 그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때까지 표시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Note 1

사용자 에이전트가 제어하는 추가 콘텐츠의 예: HTML title 속성 사용으로 생성된 브라우저 툴팁.

Note 2

이는 트리거된 인터랙티브 요소 자체 외에 나타나는 콘텐츠에 적용됩니다. (예: 페이지의 다른 부분으로 건너뛰기 위해 사용하는 링크처럼) 키보드 포커스에서 표시되는 숨겨진 인터랙티브 요소는 추가 콘텐츠가 아니므로 이 요구사항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제스처 대안개발중

제스처만이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되며, 제스처가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입력 방식 유연성개발중

입력 또는 탐색을 포함한 기능이 다른 입력 방식으로 달성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언제든지 이러한 입력 방식 간 전환 옵션을 가집니다.

Note

이는 모든 입력 기술(포인터, 키보드, 음성, 제스처)을 모두 지원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다만 어떤 입력 방식이 지원된다면, 특정 입력 방식이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해당 콘텐츠 전체에서 지원되어야 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신체 움직임 없이 사용개발중

전체 또는 큰 신체 움직임만이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되며, 전체 또는 큰 신체 움직임이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Note

여기에는 신체 움직임 감지와, 흔들기처럼 장치에 대한 행동 등 신체 움직임이 필요한 동작이 모두 포함됩니다.

Guideline 2.4.6 인증

사용자는 대체 인증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생체 인식 식별개발중

생체 인식은 신원 확인 또는 인증의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됩니다.

Foundational requirement: 음성 식별개발중

음성 식별은 신원 확인 또는 인증의 유일한 방법이어서는 안 됩니다.

2.5 오류 처리

Guideline 2.5.1 오류 수정

사용자는 오류를 인지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알림개발중

오류가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으로 및 프로그램적으로 알립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원인 식별개발중

오류가 발생한 콘텐츠프로그램적으로 표시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설명적 오류개발중

오류 메시지는 문제를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편집자 주

명확한 언어 지침에서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 작성 요구사항을 안내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알림 내 오류 원인개발중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메시지에는 해당 요소의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이 포함됩니다. 만약 그 요소가 프로세스의 다른 부분에 위치한다면, 오류 메시지에 페이지/ 또는 프로세스 단계 정보가 포함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제안개발중

오류 메시지에는 자동으로 판단 가능한 경우, 보안이나 콘텐츠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한 수정 제안이 포함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가시성개발중

오류 메시지는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며, 다음 중 최소 두 가지를 포함해야 합니다:

  • 심볼.
  • 오류 메시지가 주변 콘텐츠와 구별되는 색상.
  • 이 메시지가 오류임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텍스트.
Note

오류를 나타내는 심볼과 색상은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맞게 조정해야 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지속개발중

오류 메시지는 사용자가 닫거나 오류가 해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표시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류 원인 연관개발중

오류 메시지는 오류 원인과 프로그램적으로 연관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오류 연결됨개발중

오류 알림이 오류가 발생한 항목과 인접하지 않은 경우, 오류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오류 위치개발중

오류 메시지는 오류가 발생한 위치와 시각적으로 함께 배치됩니다.

Guideline 2.5.2 오류 방지

사용자가 정보를 제출할 때,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합니다:

  • 제출 전에 정보를 검토, 확인, 수정할 수 있음
  • 정보가 검증되어 오류가 발견되면 수정할 수 있음
  • 사용자가 제출을 되돌릴 수 있음
보조 요구사항: 제출 확인개발중

제출 시, 사용자에게 제출된 정보와 제출 상태를 알립니다.

보조 요구사항: 데이터 입력 후 검증개발중

데이터 입력 중에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한 후 폼이 제출되기 전에 데이터 검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실시간 검증개발중

다단계 프로세스를 완료할 때, 사용자가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에 검증이 이루어집니다.

2.6 애니메이션 및 움직임

Guideline 2.6.1 신체적 해로움 방지

사용자는 콘텐츠로 인해 신체적 해로움을 경험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디오 이동 방지개발중

콘텐츠에 움직임 감각을 유발하는 오디오 이동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일시정지 또는 방지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깜빡임 방지개발중

콘텐츠에는 깜빡임 임계값을 초과하는 비필수 깜빡임 또는 스트로브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깜빡임 경고개발중

깜빡임필수적일 경우, 사용자에게 깜빡임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트리거 경고를 제공하고, 동일한 정보를 깜빡임 콘텐츠 없이 접근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깜빡임 없음개발중

콘텐츠깜빡임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시각적 움직임 방지개발중

콘텐츠에 5초를 초과하는 비필수 시각적 움직임 및 유사 움직임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시각적 움직임 경고개발중

5초를 초과하는 시각적 움직임이나 유사 움직임필수적일 경우, 해당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트리거 경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동일 정보를 시각적 움직임이나 유사 움직임 없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시각적 움직임 없음개발중

콘텐츠에 5초를 초과하는 시각적 움직임 또는 유사 움직임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상호작용에서 움직임 방지개발중

콘텐츠에 상호작용으로 트리거되는 비필수 시각적 움직임 및 유사 움직임이 포함되지 않거나, 일시정지 또는 방지할 수 있습니다.

2.7 레이아웃

Guideline 2.7.1 관계

사용자는 콘텐츠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및 보조 기술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7.2 알아볼 수 있는 레이아웃

사용자는 일관되고 알아볼 수 있는 레이아웃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7.3 방향

사용자는 콘텐츠 내 위치를 시각적으로 및 보조 기술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7.4 구조

사용자는 콘텐츠의 구조를 활용하여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또한: 명확한 언어 지침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프로그래밍적 관계개발중

요소들 간의 관계는 프로그램적으로 전달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영역개발중

요소들은 랜드마크 내에서 프로그램적으로 그룹화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섹션 라벨개발중

요소 그룹에는 그 목적을 정의하는 라벨이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제목 구조개발중

요소 그룹은 논리적이고 의미 있는 제목 계층 구조로 구성됩니다.

기본 요구사항: 목록개발중

목록은 관련 항목의 집합으로 시각적으로 및 프로그램적으로 식별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시각적으로 정리됨개발중

관련 요소들이 시각적으로 함께 그룹화됩니다.

Guideline 2.7.5 방해 없음

사용자는 방해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및 내비게이션을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방해 없음개발중

사용자 작업 또는 이해에 필수적콘텐츠는 닫을 수 없거나 이동할 수 없는 요소에 의해 영구적으로 가려지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명확하게 닫을 수 있는 콘텐츠 오버레이개발중

콘텐츠가 일시적으로 다른 콘텐츠를 덮는 경우, 표준 상호작용 방법으로 명확하게 닫거나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오버레이는 중요한 화면 판독기 알림이나 키보드 포커스를 방해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비활성화된 컨트롤개발중

컨트롤이 비활성화된 경우, 왜 비활성화되었는지 및 활성화에 필요한 조치를 시각적 및 프로그램적으로 설명하는 정보가 제공됩니다.

보조 요구사항: 일관된 위치 지정개발중

시각적으로 영구적인 요소는 예측 가능한 위치를 가지며, 주요 콘텐츠와 겹쳐서 읽기 어렵거나 사용할 수 없게 만들지 않습니다.

2.8 뷰 간의 일관성

Guideline 2.8.1 일관성

사용자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일관된 대안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2.9 프로세스 및 작업 완료

Guideline 2.9.1 배제적인 인지 과제 피하기

사용자는 기억하거나 고차원 인지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도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9.2 충분한 시간

사용자는 콘텐츠를 읽고 사용할 충분한 시간을 가집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9.3 불필요한 단계 없음

사용자는 불필요한 절차 없이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9.4 기만 방지

사용자는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기만을 경험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동의사항 변경개발중

지속적인 프로세스, 서비스 또는 작업의 동의 조건이 변경될 경우, 사용자에게 변경 사항을 알리고 동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오해 소지 없는 문구개발중

콘텐츠에 이중 부정, 허위 진술 또는 기타 오해를 일으키는 문구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인위적 압박 없음개발중

프로세스 완료에 인위적 시간 제한이 포함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제한이 작업에 필수적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Note

즉각적인 행동을 하지 않으면 혜택을 잃는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인위적 시간 제한입니다.

기본 요구사항: 숨겨진 사전 선택 없음개발중

재정, 개인정보, 안전에 영향을 주는 사전 선택 옵션은 기본적으로 시각적 및 프로그램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프로세스에서 해당 옵션을 이전에 선택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보조 요구사항: 주의 분산 없음개발중

콘텐츠가 재정, 개인정보, 안전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다른 정보에 강조 표시하여 주의를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어서는 안 됩니다.

판정: 사용자와 기만 방지 테스트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인지 및 정신 건강 관련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테스트를 진행하고, 결과에 따라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Guideline 2.9.5 정보 유지

사용자는 정보를 다시 입력하거나 작업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9.6 작업 완료

사용자는 작업 완료 방법을 이해합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2.10 정책 및 보호

Guideline 2.10.1 콘텐츠 출처

사용자는 콘텐츠가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0.2 정보 프라이버시

개인 및 민감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자는 다음을 이해합니다:

  • 요청된 정보가 개인 및 민감 정보임을,
  • 요청된 정보가 어떻게 사용될지,
  • 정보 제공 시 수반되는 위험.
기본 요구사항: 민감 정보 알림개발중

개인 또는 민감 정보가 표시될 때, 사용자에게 알리고 정보를 숨길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Guideline 2.10.3 동의 및 위험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옵션의 이점, 위험, 결과를 이해합니다.

기본 요구사항: 동의사항 표시개발중

법적, 재정적, 개인정보, 보안 관련 결과는 사용자가 법적, 재정적, 개인정보, 보안 관련 동의 전 콘텐츠에서 제공받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동등한 위험개발중

장애인을 위해 대체 또는 추가 프로세스 또는 콘텐츠를 요구하는 경우, 대체 수단의 사용이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하지 않아야 합니다.

보조 요구사항: 위험 고지개발중

법적, 재정적, 개인정보, 보안 선택이 필요한 콘텐츠는 선택이 확정되기 전에 이점, 위험, 잠재적 결과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Guideline 2.10.4 알고리즘

사용자는 알고리즘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거나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판정: 포괄적 데이터 세트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AI 모델을 대표성 있고 편향되지 않은 장애 관련 정보로 훈련하며, 이는 일반 인구 비율에 비례합니다.

판정: 알고리즘 피해 없음개발중

콘텐츠 작성자(들)는 알고리즘이 장애인에게 불이익을 주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성 테스트와 윤리 검토를 수행합니다.

2.11 도움 및 피드백

Guideline 2.11.1 도움 제공

사용자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1.2 피드백

사용자는 콘텐츠 작성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2.12 사용자 제어

Guideline 2.12.1 텍스트 제어

사용자는 텍스트 표시 방식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2.2 조절 가능한 뷰포트

사용자는 콘텐츠 표시의 크기와 방향을 변환하여 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2.3 콘텐츠 변환

사용자는 콘텐츠를 변환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2.4 미디어 제어

사용자는 미디어 및 미디어 대안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2.5 방해 제어

사용자는 방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Guideline 2.12.6 잠재적 해로움 제어

사용자는 잠재적 해로움의 원인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본 요구사항: 촉각 자극개발중

촉각 피드백은 줄이거나 끌 수 있습니다.

Guideline 2.12.7 사용자 에이전트 지원

사용자는 사용자 에이전트보조 기술을 포함하여 자신의 콘텐츠 설정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이 지침의 요구사항과 판정은 아직 탐색 단계를 넘지 못하여 여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잠재적 요구사항 및 판정의 전체 목록은 편집자 초안을 참고하세요.

3. 적합성탐색중

이 섹션(및 하위 섹션)은 명세에 적합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요구사항을 제공합니다. 즉, 규범적입니다.

비규범적임으로 표시된 섹션뿐만 아니라, 이 명세의 모든 저작 지침, 다이어그램, 예시, 주석은 비규범적입니다. 그 외의 모든 내용은 규범적입니다.

이 문서에서 MAYMUST라는 핵심 단어는 BCP 14 [RFC2119] [RFC8174] 에서 설명된 대로 해석해야 하며, 오직 여기 보인 것처럼 모든 대문자로 등장할 때만 적용됩니다.

3.1 적합성

적합성 쉬운 언어 요약

여러분은 여러분의 콘텐츠 또는 제품이 WCAG 3.0 지침을 충족한다고 주장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만약 지침을 충족한다면, 이를 "적합성"이라고 합니다.

공식 적합성 주장을 하고 싶다면,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적합성 주장은 필수가 아니며, 주장을 하지 않아도 여러분의 콘텐츠는 WCAG 3.0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두 가지 유형의 콘텐츠가 있습니다:

  • 규범적: 지침을 충족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것.
  • 비규범적: 지침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조언. 이는 비규범적이라고도 합니다.

WCAG 3.0에 대해 다양한 적합성 접근법을 실험 중입니다. 충분한 지침이 개발되면, 각 접근법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것입니다.

적합성 요약 끝

WCAG 3.0은 WCAG 2.2와 다른 적합성 모델을 사용할 예정이며, 이는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함입니다. 적합성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작업은 AG가 향후 몇 년간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 중 하나입니다.

AG는 기본 요구사항(Foundational Requirements), 보조 요구사항(Supplemental Requirements), 판정(Assertions)에 기반한 모델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적합성 수준은 모든 기본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집합은 WCAG 2.2의 AA 등급과 어느 정도 비교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적합성 수준은 보조 요구사항과 판정을 통해 정의되고 충족됩니다. AG는 더 높은 수준을 점수, 백분율, 또는 미리 정의된 요구사항 집합(모듈)에 기반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탐구하고 있습니다.

AG가 계속 탐구 중인 기타 적합성 개념에는 적합성 수준, 이슈 심각도, 형용사 등급, 사전 평가 체크 등이 포함됩니다.

W3C 접근성 지침(WCAG) 3.0 설명서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1.1 접근성 지원되는 기술 사용만 허용

"접근성 지원" 개념은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와 상황을 고려하기 위한 것입니다. 저자가 지침을 충족하기 위한 특정 기법이 실제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실제로 작동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테스트 책임은 적합성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 적합성 수준에서는 저자가 WCAG 3.0에서 제공하는 방법과 기법이 작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적합성 수준에서는 저자가 해당 기법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거나, 사용 가능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거나, 두 가지 모두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워킹 그룹이 채택된 방법과 기법이 실제로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충분히 넓고 국제적으로 지원됨을 보장하며, 각 요구사항을 충족할 충분한 기법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WCAG 3.0은 방법/기법에 지원 정보를 태그할 수 있도록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관심 있는 당사자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접근성 지원 집합("accessibility support set")은 더 높은 적합성 수준에서 어떤 사용자 에이전트와 보조 기술로 테스트하는지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적합성 주장에 포함되며, 저자가 WCAG 3.0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보조 기술에 오래된 버그가 있는 경우 예외를 둘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 중입니다.

3.1.2 적합성 범위 정의탐색중

콘텐츠의 접근성을 평가할 때, WCAG 3.0은 지침이 특정 범위에 적용되도록 요구합니다. 범위는 디지털 제품 전체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체의 일부분 또는 여러 하위 집합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콘텐츠가 방대할 경우, 항목에 대한 자동 평가 이상의 방법으로 모두 평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 많은 경우, 콘텐츠가 자주 변경되어 평가가 특정 시점에만 정확해집니다;
  • 일부 콘텐츠는 대다수 사용자에게 다른 콘텐츠보다 더 중요합니다;
  • 대부분 요구사항을 충족하지만 문제가 있는 콘텐츠가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사용자의 능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CAG 3.0은 콘텐츠 범위를 정의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프로세스입니다. 평가는 하나 이상의 완전한 뷰 또는 프로세스 단위로 진행되며, 적합성은 하나 이상의 완전한 뷰 또는 프로세스 단위로 결정됩니다.

적합성은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정의됩니다. 하지만 적합성 주장은 하나의 프로세스, 일련의 프로세스와 뷰, 또는 여러 관련 프로세스와 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의 모든 고유 단계는 뷰 집합에 반드시(MUST) 포함되어야 합니다. 프로세스 외의 뷰는 (MAY) 범위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대표 샘플링은 대형·복잡한 사이트에서 접근성 평가에 활용하는 중요한 전략임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아직 다루지 않았지만, 향후 이 문서나 별도의 문서에서 지침이 후보 추천 단계에 이르기 전에 다룰 예정입니다. WCAG 3.0에 대표 샘플링을 도입하는 최적 방법에 대한 제안과 피드백을 환영합니다.

4. 용어집개발중

이 섹션(및 그 하위 섹션)은 명세에 적합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요구사항을 제공합니다. 즉, 규범적입니다.

Note

여기에서 정의된 많은 용어들은 일반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용어가 정의로 연결되는 링크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 그 의미는 여기에서 공식적으로 정의된 의미입니다. 용어가 정의로 연결되는 링크 없이 나타나는 경우, 그 의미는 여기의 공식 정의와 명시적으로 관련되지 않습니다. 이 정의들은 진행 중이며 문서가 발전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Editor's note

이 용어집에는 ‘개발중(Developing)’ 이상의 성숙도 수준에 도달한 콘텐츠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포함됩니다. 정의 자체에도 성숙도 수준이 포함되며, 이 정의가 참조하는 콘텐츠와는 다른 속도로 성숙해질 수 있습니다. AGWG는 가능한 한 문서 전반에서 용어를 조화시키기 위해 다른 태스크포스 및 그룹과 협력할 것입니다.

약어개발중

약어가 아직 언어의 일부가 되지 않은 단어, 구, 또는 이름의 축약형

Note 1

여기에는 두문자어(initialisms), 약자어(acronyms), 숫자어(numeronyms)가 포함됩니다.

  1. initialisms는 이름이나 구에 포함된 단어 또는 음절의 첫 글자로 만든 축약형입니다. 모든 언어에서 동일하게 정의되지는 않습니다.
  2. acronyms는 (이름이나 구의) 다른 단어의 첫 글자 또는 일부로 만든 축약형으로, 하나의 단어처럼 발음될 수 있습니다.
  3. numeronyms는 단어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사용하고, 그 사이에 생략된 글자 수를 나타내는 숫자를 넣어 만든 축약형입니다.
Note 2

일부 회사는 과거의 두문자어를 그대로 회사명으로 채택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회사의 새로운 이름은 (예: Ecma) 문자 자체이며, 더 이상 약어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접근성 지원 세트개발중

테스트에 사용하는 사용자 에이전트와 보조 기술의 그룹

Editor's note

AGWG는 지침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에이전트와 보조 기술의 기본 세트를 정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접근성 지원 세트는 언어, 지역,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 접근성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적합성 보고서에 사용 중인 세트를 명시해야 합니다.

접근성 지원됨개발중

모든 운영체제에서 최소 2개의 주요 무료 브라우저에 의해 지원되거나, 각 운영체제의 각 AT 유형에서 AT 사용자 누적 80%가 사용하는 보조 기술에서 제공되는 경우

활성 이용 가능개발중

사용자가 읽을 수 있고 포함된 실행 가능한 항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됨

판정개발중

접근성 향상을 위해 콘텐츠 또는 제품의 개발 및 유지보수에서 실행된 절차에 대해, 개인 또는 조직에 귀속되는 사실에 대한 공식적 주장

보조 기술개발중

사용자 에이전트로서, 또는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와 함께 작동하여,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넘어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Note 1

보조 기술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대체 표현(예: 합성 음성 또는 확대된 콘텐츠), 대체 입력 방식(예: 음성), 추가 탐색 또는 방향 제시 메커니즘, 콘텐츠 변환(예: 표를 더 접근 가능하게 변환) 등이 포함됩니다.

Note 2

보조 기술은 종종 API를 사용하고 모니터링하여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와 데이터 및 메시지를 주고받습니다.

Note 3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와 보조 기술의 구분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많은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가 장애가 있는 개인을 돕는 일부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인 차이점은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는 장애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모두 포함하는 넓고 다양한 대상을 목표로 하는 반면, 보조 기술은 특정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좁게 정의된 집단을 목표로 한다는 점입니다. 보조 기술이 제공하는 지원은 대상 사용자의 요구에 더 구체적이고 적합합니다. 일반 사용자 에이전트는 프로그램 객체에서 웹 콘텐츠를 가져오거나 마크업을 식별 가능한 묶음으로 파싱하는 등 보조 기술을 돕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개발중

소리 재생 기술

Note

오디오는 합성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음성 합성 포함), 실제 세계의 소리를 녹음할 수도 있고, 둘의 조합일 수도 있습니다.

오디오 설명개발중

주요 사운드트랙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중요한 시각적 세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운드트랙에 추가된 내레이션

Note

시청각 매체의 경우, 오디오 설명은 동작, 등장인물, 장면 전환, 화면의 텍스트, 기타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오디오 설명은 때때로 “비디오 설명”, “설명된 비디오”, “시각 설명”, 또는 “설명적 내레이션”이라고도 합니다.

표준 오디오 설명에서는 대화의 기존 공백에 내레이션을 추가합니다. 확장 오디오 설명도 참조하세요.

모든 중요한 시각 정보가 이미 주요 오디오 트랙에서 제공되는 경우, 추가 오디오 설명 트랙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동 평가개발중

평가를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해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코드 수준의 특징을 평가하고 다른 테스트에 휴리스틱을 적용함

Note

자동 테스트는 인간의 판단이나 경험이 필요한 다른 유형의 테스트와 대비됩니다. 반자동 평가는 기계가 점검이 필요한 영역으로 사람을 안내할 수 있게 합니다. 기계 학습을 통해 수행되는 테스트의 새로운 분야는 이 정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깜박임개발중

주의를 끌기 위한 목적으로 두 가지 시각적 상태 사이를 앞뒤로 전환하는 것

Note

번쩍임도 참조하세요. 어떤 것은 충분히 크고 적절한 주파수에서 밝게 깜박이면 번쩍임으로도 분류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블록개발중

둘 이상의 텍스트 문장

카메라 입력개발중

카메라를 동작 센서로 사용해 공중 제스처 등 모든 유형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방식

Note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정적인 QR 코드 이미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자막개발중

시청각 콘텐츠 작품의 음성 및 비음성 오디오 부분 모두에 대한 동기화된 시각적 및/또는 텍스트 대체

Note 1

닫힌 자막(Closed captions)은 일부 플레이어에서 켜고 끌 수 있는 동등물이며, 종종 보조 기술을 사용해 읽을 수 있습니다.

Note 2

열린 자막(Open captions)은 플레이어에서 끌 수 없는 자막입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에 내장된 텍스트의 시각적 동등 이미지인 경우입니다.

Note 3

오디오 설명은 이미 시각적으로 제시된 정보에 대한 설명이므로 자막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Note 4

일부 국가에서는 자막을 “subtitles”라고 부릅니다. ‘subtitles’라는 용어는 오디오 콘텐츠의 번역된 버전을 제시하는 자막을 지칭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공통 키보드 탐색 기법개발중

대부분 또는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에서 동일하여, 키보드만으로 탐색해야 하는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키보드 탐색 기법

Note

저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통 키보드 탐색 기법의 충분한 목록은 WCAG 공통 키보드 탐색 기법 목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포인터 입력개발중

단일 포인터 입력이 아닌 모든 포인터 입력

구성요소개발중

특정 기능을 위한 요소들의 그룹화

적합성개발중

지침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 공식 적합성 주장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침을 따르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적합성 섹션을 참조하세요.

콘텐츠개발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와 감각적 경험으로, 콘텐츠의 구조, 표현,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코드 또는 마크업을 포함함

장식용개발중

오로지 미적 목적만을 수행하며,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기능도 없는 것

Note

텍스트가 순전히 장식적인 경우는, 단어를 재배열하거나 대체해도 그 목적이 변하지 않을 때뿐입니다.

사용 중단(예정)개발중

일반적으로 특정 대체 항목을 선호하기 위해 어떤 것을 구식으로 선언하고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

사용 중단된 문서는 더 이상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미래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설명적 대본개발중

콘텐츠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음성 및 비음성 오디오 정보와 시각 정보의 텍스트 버전.

다운 이벤트개발중

포인터의 트리거 자극이 눌렸을 때 발생하는 플랫폼 이벤트

Note

다운 이벤트는 플랫폼에 따라 “touchstart” 또는 “mousedown” 등으로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필수 예외개발중

이 방법 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거나 기능을 근본적으로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예외

평가개발중

콘텐츠가 이 지침에 적합한지 검토하는 과정

Note

평가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에는 자동 평가, 반자동 평가, 인간 평가, 그리고 사용성 테스트가 포함됩니다.

확장 오디오 설명개발중

오디오 설명을 추가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비디오를 일시정지하여 시청각 매체에 추가하는 오디오 설명

Note

이 기법은 추가 오디오 설명이 없으면 비디오의 의미가 손실되고, 대화 또는 내레이션 사이의 공백이 너무 짧을 때에만 사용됩니다.

도표 자막개발중

시각 매체 작품에 수반되며 페이지에서 항상 보이는 제목, 간단한 설명 또는 주석

번쩍임개발중

상대 휘도의 서로 반대되는 변화 한 쌍으로, 충분히 크고 적절한 주파수 범위에 있을 경우 일부 사람에게 발작을 유발할 수 있음

Note 1

허용되지 않는 번쩍임 유형에 대한 정보는 일반 번쩍임 및 붉은 번쩍임 임계값을 참조하세요.

Note 2

깜박임도 참조하세요.

기능적 필요개발중

개인의 능력의 특정 격차 또는 능력과 설계된 환경/맥락 사이의 특정 불일치를 설명하는 진술

일반 번쩍임 및 붉은 번쩍임 임계값개발중

번쩍임 또는 빠르게 변하는 이미지 시퀀스가 아래 임계값(즉, 콘텐츠가 통과)임을 의미하는 경우는 다음 중 하나라도 참일 때입니다:

  • 어떤 1초 구간에서도 일반 번쩍임이 3회를 넘지 않고 그리고/또는 붉은 번쩍임이 3회를 넘지 않을 때; 또는
  • 동시에 발생하는 번쩍임의 결합 영역이, 전형적인 시청 거리에서 화면의 임의의 10도 시야 내에서 총 .006 스테라디안(화면의 임의의 10도 시야의 25%)을 넘지 않을 때

여기서:

  • 일반 번쩍임은 최대 상대 휘도(1.0)의 10% 이상에서, 더 어두운 이미지의 상대 휘도가 0.80 미만인 상대 휘도의 서로 반대되는 변화 한 쌍으로 정의됩니다. “서로 반대되는 변화 한 쌍”은 증가 후 감소 또는 감소 후 증가를 의미하며,
  • 붉은 번쩍임은 포화된 빨간색이 포함된 서로 반대되는 전이 한 쌍으로 정의됩니다.

예외: 백색 잡음(white noise)이나 교차 무늬(체커보드)처럼 미세하고 균형 잡힌 패턴으로, 한 변이 0.1도(전형적인 시청 거리에서의 시야)보다 작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임계값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Note 1

일반 소프트웨어나 웹 콘텐츠의 경우, 콘텐츠를 1024 x 768 픽셀로 볼 때 화면 어디든 341 x 256 픽셀 사각형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 화면 크기와 시청 거리(예: 15-17인치 화면, 22-26인치 거리)의 10도 시야를 잘 추정해 줍니다. 75 - 85 ppi의 해상도는 CSS 명세의 명목상 CSS 픽셀 해상도인 96 ppi보다 낮고, 따라서 더 보수적입니다. 동일한 렌더링을 보여주는 더 높은 해상도에서는 이미지가 더 작고 안전하므로, 임계값 정의에는 더 낮은 해상도가 사용됩니다.

Note 2

전이는 시간에 따른 상대 휘도(붉은 번쩍임의 경우 상대 휘도/색)의 측정을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인접한 피크와 계곡 사이의 상대 휘도(또는 상대 휘도/색)의 변화입니다. 번쩍임은 서로 반대되는 두 전이로 구성됩니다.

Note 3

이 분야의 “포화된 빨간색이 포함된 서로 반대되는 전이 한 쌍”(WCAG 2.2)의 새로운 실무 정의는, 한 전이가 R/(R + G + B) 값이 0.8 이상인 상태로의(또는 그로부터의) 전이이며, 두 상태 간 차이가 CIE 1976 UCS 색도도에서 0.2(단위 없음)보다 큰 서로 반대되는 전이 한 쌍입니다. [ISO_9241-391]

Note 4

비디오 화면 캡처에서 분석을 수행하는 도구가 제공됩니다. 그러나 어떤 1초 구간에서 번쩍임이 3회 이하일 경우, 이 조건을 평가하는 데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자동으로 통과합니다(위 #1과 #2 참조).

제스처개발중

기술에 전달하기 위해 신체 또는 신체 일부로 수행하는 동작

지침개발중

요구사항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수준의 쉬운 언어 결과 진술

Note

지침은 관리자, 정책 입안자, 접근성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 그리고 개념은 이해해야 하지만 기술적 세부 내용에 깊이 들어갈 필요는 없는 사람들을 위한 고수준의 쉬운 언어 결과 진술을 제공합니다. 지침은 비전문가가 요구사항을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구성하고 제시하는 쉬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각 지침에는 고유하고 설명적인 이름과 함께 고수준 쉬운 언어 요약이 포함됩니다. 지침은 대비, 양식, 가독성 등 특정 주제의 기능적 필요를 다룹니다.

지침은 관련 요구사항을 그룹화하며 기술 독립적입니다.

인간 평가개발중

평가를 사람이 수행하는 것으로, 완전히 자동 평가될 수 없는 테스트에 인간의 판단을 적용하기 위함

Note

인간 평가는 전적으로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평가와 대비되며, 기계가 사람이 점검해야 할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반자동 평가를 포함합니다. 인간 평가는 콘텐츠의 특징을 점검하는 반면, 사용성 테스트는 사용자의 경험을 직접 테스트합니다.

이미지Placeholder
Editor's note

정의 예정.

비규범적개발중

콘텐츠가 정보 제공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적합성에는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 비규범적(non-normative)이라고도 함

인터랙티브 요소개발중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며 고유한 프로그램적으로 결정 가능한 이름을 갖는 요소

Note

비인터랙티브 요소와 대비됩니다. 예: 제목(heading)이나 문단(paragraph).

항목개발중

테스트 범위에서 가장 작은 테스트 가능한 단위

Note

항목은 드롭다운 메뉴, 링크,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인터랙티브 구성요소일 수 있습니다.

또한 구, 문단, 레이블 또는 오류 메시지, 아이콘, 또는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의 단위일 수도 있습니다.

키보드 포커스개발중

어떤 키보드 동작이든 효과가 적용되는 콘텐츠 내의 지점

키보드 인터페이스개발중

소프트웨어가 “키 입력(keystrokes)”을 받는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Note

“키보드 인터페이스”로부터 소프트웨어에 전달되는 “키 입력”은 스캐닝 프로그램, sip-and-puff 모스 부호 소프트웨어,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각종 AI, 기타 키보드 대체 장치나 특수 키보드 등 매우 다양한 출처에서 올 수 있습니다.

메커니즘개발중

프로세스 또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기법

Note 1

메커니즘은 콘텐츠에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플랫폼이나 사용자 에이전트(보조 기술 포함)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의존할 수도 있습니다.

Note 2

메커니즘은 주장하는 적합성 수준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미디어 대안개발중

오디오, 비디오 및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대체 포맷(일반적으로 텍스트)으로, 자막, 오디오 설명, 설명적 대본 등을 포함합니다.

방법개발중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방법에 관한(기술 종속적 또는 기술 중립적) 상세 정보와 테스트 및 점수화 정보

비인터랙티브 요소개발중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지 않고 하위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요소

Note 1

문단에 링크가 포함된 경우, 링크 양쪽의 텍스트는 정적 요소로 간주되지만 문단 전체는 그렇지 않습니다.

Note 2

텍스트 내의 개별 글자들은 “더 작은 부분”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비유적 언어개발중

표준적 또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더 깊고 복잡한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나 구

Note

이를 비유적 언어라고도 합니다.

콘텐츠를 이해하려면, 문자 그대로의 직접적인 의미가 아니라 단어 뒤에 암시된 의미를 해석해야 합니다.

예시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암시
  • 과장법
  • 관용구
  • 반어
  • 농담
  • 완곡법
  • 은유
  • 환유
  • 의성어
  • 모순어법
  • 의인법
  • 말장난
  • 직유
규범적개발중

콘텐츠적합성에 반드시 필요한 지침이 포함된 것

페이지개발중

HTTP를 사용해 단일 URI에서 얻은 비임베디드 리소스와, 렌더링에 사용되거나 함께 렌더링하도록 의도된 기타 모든 리소스

Note

URI가 사용 가능하고 고유한 콘텐츠 집합을 나타내는 경우, 그것이 선호되는 적합성 단위입니다.

경로 기반 제스처개발중

끝점뿐 아니라 포인터 입력의 경로에 의존하는 제스처

Note

경로 기반 제스처에는 시간 의존적, 비시간 의존적 경로 기반 제스처가 모두 포함됩니다.

플랫폼개발중

대상 소프트웨어 아래에 위치하여 대상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상 소프트웨어가 그 아래의 하드웨어, 드라이버 및 기타 소프트웨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계층의 집합

Note 1

플랫폼 소프트웨어는 대상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실행되기 쉽게 하며, 대상 소프트웨어를 더 쉽게 작성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하며, 다른 대상 소프트웨어와 더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많은 서비스(예: 함수, 유틸리티,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Note 2

특정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상황에 따라 플랫폼 역할을 하기도 하고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는 페이지의 콘텐츠에 대해 플랫폼이지만, 동시에 그 아래의 운영체제에 의존합니다.

Note 3

플랫폼은 제품이 존재하는 맥락입니다.

포인터플레이스홀더
Editor's note

정의 예정.

개인 및 민감 정보탐색중

개인 및 민감 정보

프로세스개발중

사용자 동작과 연관된 또는 페이지의 연속으로, 활동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동작이(종종 특정 순서로) 수행되는 과정이며, 사용 기술이나 서로 다른 사이트 또는 도메인을 아우르는지 여부와 무관합니다.

제품개발중

웹사이트, 일련의 웹페이지, 웹 앱 등을 구성하는 모든 항목, , 작업 흐름의 조합으로서의 테스트 범위

Note

제품의 맥락은 플랫폼이 됩니다.

프로그램적으로 결정 가능개발중

콘텐츠의 의미와 모든 중요한 속성이, 접근성 지원됨인 소프트웨어 기능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

유사 움직임

페이지의 정적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움직임의 인상 또는 느낌을 주는 것

상대 휘도개발중

색공간의 어떤 지점에서든 상대적인 밝기(가장 어두운 검정은 0, 가장 밝은 흰색은 1로 정규화)

Note 1

sRGB 색공간의 경우, 색상의 상대 휘도는 L = 0.2126 * R + 0.7152 * G + 0.0722 * B로 정의되며, R, G, 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RsRGB <= 0.04045이면 R = RsRGB/12.92, 그렇지 않으면 R = ((RsRGB+0.055)/1.055) ^ 2.4
  • GsRGB <= 0.04045이면 G = GsRGB/12.92, 그렇지 않으면 G = ((GsRGB+0.055)/1.055) ^ 2.4
  • BsRGB <= 0.04045이면 B = BsRGB/12.92, 그렇지 않으면 B = ((BsRGB+0.055)/1.055) ^ 2.4

그리고 RsRGB, GsRGB, BsRG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RsRGB = R8bit/255
  • GsRGB = G8bit/255
  • BsRGB = B8bit/255

“^” 문자는 거듭제곱 연산자입니다. (공식은 [SRGB]에서 가져옴.)

Note 2

2021년 5월 이전에는 정의의 값 0.04045가 달랐습니다(0.03928). 이는 이전 명세에서 가져온 것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이 지침의 문맥에서 계산에는 실질적인 영향이 없습니다.

Note 3

오늘날 웹 콘텐츠를 보기 위해 사용되는 거의 모든 시스템은 sRGB 인코딩을 가정합니다. 다른 색공간이 콘텐츠 처리 및 표시를 위해 사용될 것이 확실하지 않은 한, 저자는 sRGB 색공간을 사용해 평가해야 합니다.

Note 4

전달 이후 디더링이 발생하는 경우, 원본 색상 값을 사용합니다. 원본에서 디더링된 색상의 경우, 디더링된 색상의 평균 값(평균 R, 평균 G, 평균 B)을 사용해야 합니다.

Note 5

대비 및 번쩍임 테스트 시 자동으로 계산을 수행하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ditor's note

WCAG 2.2에는 수식 표시를 위해 MathML을 사용하는 상대 휘도 정의를 제공하는 별도의 페이지가 있습니다. WCAG 3에 이를 포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요구사항개발중

장애인이 경험하는 장벽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관행의 결과

섹션개발중

하나 이상의 관련 주제 또는 생각을 다루는 자체 포함적인 콘텐츠의 일부

Note

섹션은 하나 이상의 문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픽, 표, 목록 및 하위 섹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반자동 평가개발중

기계가 사람이 점검해야 할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해 수행하는 평가

Note

반자동 평가는 자동 평가인간 평가의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단순 포인터 입력개발중

사이 이동 없이 단일 ‘클릭’ 이벤트 또는 ‘버튼 눌림’과 ‘버튼 뗌’ 이벤트 한 쌍만 포함하는 입력 이벤트

Note

단순 포인터 동작이 아닌 예로는 더블 클릭, 드래그 동작, 제스처, 다중 포인트 입력 또는 제스처 사용, 마우스와 키보드의 동시 사용이 포함됩니다.

단일 포인터개발중

한 번에 페이지/화면의 단일 지점만을 대상으로 하는 입력 방식 —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

Note

단일 포인터 상호작용에는 클릭, 더블 클릭, 탭, 드래그 동작, 단일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가 포함됩니다. 반면, 다중 포인트 상호작용은 터치스크린의 두 손가락 상호작용이나 마우스와 스타일러스의 동시 사용처럼 두 개 이상의 포인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단일 포인터 입력개발중

한 번에 의 단일 지점만을 대상으로 하는 입력 방식 —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

Note 1

단일 포인터 상호작용에는 클릭, 더블 클릭, 탭, 드래그 동작, 단일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가 포함됩니다. 반면, 다중 포인트 상호작용은 터치스크린의 두 손가락 상호작용이나 마우스와 스타일러스의 동시 사용처럼 두 개 이상의 포인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Note 2

단일 포인터 입력은 두 개, 세 개 이상의 손가락이나 포인터가 동시에 표면을 터치하거나 공중에서 제스처를 하는 등 다중 포인트 입력과 대비됩니다.

Note 3

활성화는 보통 클릭 또는 탭으로 이루어지지만, 클릭 또는 탭의 프로그램적 시뮬레이션이나 기타 유사한 단순 활성화로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표준 플랫폼 키보드 명령개발중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동일하며 키보드만으로 탐색해야 하는 사용자가 의존하는 키보드 명령

Note

저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통 키보드 탐색 기법의 충분한 목록은 WCAG 표준 키보드 탐색 기법 목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작업 흐름개발중

특정 사용자 활동을 지원하는 일련의 뷰를 포함하는 테스트 범위

Note

작업 흐름에는 항목 하위 집합 또는 뷰 그룹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활동을 지원하는 뷰의 부분만 작업 흐름 테스트에 포함됩니다.

테스트개발중

방법의 구현을 평가하는 메커니즘

텍스트개발중

인간 언어로 무언가를 표현하는 문자 시퀀스로, 이 시퀀스는 프로그램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

텍스트 대체개발중

텍스트가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와 프로그램적으로 연관되어 있거나,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와 프로그램적으로 연관된 텍스트에서 참조되는 경우

업 이벤트개발중

포인터의 트리거 자극이 해제될 때 발생하는 플랫폼 이벤트

Note

업 이벤트는 플랫폼에 따라 “touchend” 또는 “mouseup” 등으로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사용성 테스트개발중

관찰과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가 제품 또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경험에 대한 평가

사용자 에이전트개발중

사용자를 위해 외부 콘텐츠를 검색하고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사용자 필요개발중

사용자가 디지털 수단을 통해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가지는 최종 목표

사용자 조정 가능 텍스트개발중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텍스트

Note

이는 다음의 변경(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줄, 단어, 또는 글자 간격
  • 색상
  • 줄 길이 — 텍스트 블록의 너비 제어
  • 타이포그래피 정렬 — 양쪽 정렬, 오른쪽/왼쪽 맞춤, 가운데 정렬
  • 줄바꿈
  • 열 — 1차원 콘텐츠의 열 개수
  • 여백
  • 밑줄, 이탤릭, 볼드
  • 글꼴 종류, 크기, 굵기/폭
  • 대문자화 — 모두 대문자, 스몰캡, 번갈아 대소문자
  • 행 끝 하이픈 처리
  • 링크
비디오개발중

움직이는(또는 순차적인) 그림이나 이미지의 기술

Note

비디오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나 사진 이미지, 또는 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개발중

콘텐츠활성 이용 가능 상태로 뷰포트에 표시되는 것으로, 스크롤이나 패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과, 나머지 콘텐츠를 뷰포트에서 계속 활성 이용 가능하게 둔 채 확장에 의해 포함되는 추가 콘텐츠를 포함합니다.

Note

모달 대화 상자는 뷰포트의 다른 콘텐츠가 더 이상 활성 이용 가능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뷰를 구성합니다.

뷰포트개발중

플랫폼이 콘텐츠를 제시하는 객체

Note 1

작성자는 뷰포트를 제어할 수 없고, 뷰포트에 무엇이 표시되는지(예: 화면에 무엇이 있는지)를 거의 알 수 없습니다. 이는 플랫폼이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브라우저에서는 하드웨어 플랫폼이 콘텐츠로부터 격리됩니다.

Note 2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뷰포트를 통해 제시될 수 있습니다. 뷰포트에는 창, 프레임, 스피커, 가상 돋보기 등이 포함됩니다. 뷰포트는 다른 뷰포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예: 중첩 프레임). 프롬프트, 메뉴, 알림과 같은 사용자 에이전트가 만든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뷰포트가 아닙니다.

A. 개인정보 보호 고려사항

편집자 주

이 문서의 내용은 아직 개인정보 보호 고려사항을 식별할 만큼 성숙하지 않았습니다. 이 초안의 검토자들은 적합성 모델의 요구사항이 개인정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B. 보안 고려사항

편집자 주

이 문서의 내용은 아직 보안 고려사항을 식별할 만큼 성숙하지 않았습니다. 이 초안의 검토자들은 적합성 모델의 요구사항이 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C. 변경 로그

이 섹션은 2021년 1월 21일 최초 공개 작업 초안이 발표된 이후 WCAG 3.0에서 이루어진 실질적인 변경사항을 보여줍니다.

전체 WCAG 3.0 커밋 내역Silver 커밋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D. 감사의 글

접근성 지침 작업 그룹(AG WG) 참여에 대한 추가 정보는 작업 그룹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1 문서 개발에 기여한 분들

D.2 이전에 문서 개발에 기여한 분들

Abi James, Abi Roper, Alastair Campbell, Alice Boxhall, Alina Vayntrub, Alistair Garrison, Amani Ali, Andrew Kirkpatrick, Andrew Somers, Andy Heath, Angela Hooker, Aparna Pasi, Ashley Firth, Avneesh Singh, Avon Kuo, Azlan Cuttilan, Ben Tillyer, Betsy Furler, Brooks Newton, Bruce Bailey, Bryan Trogdon, Caryn Pagel, Charles Hall, Charles Nevile, Chris Loiselle, Chris McMeeking, Christian Perera, Christy Owens, Chuck Adams, Cybele Sack, Daniel Bjorge, Daniel Henderson-Ede, Darryl Lehmann, David Fazio, David MacDonald, David Sloan, David Swallow, Dean Hamack, Detlev Fischer, DJ Chase, E.A. Draffan, Eleanor Loiacono, Filippo Zorzi, Francis Storr, Frankie Wolf, Frederick Boland, Garenne Bigby, Gez Lemon, Giacomo Petri, Glenda Sims, Graham Ritchie, Greg Lowney, Gregg Vanderheiden, Gundula Niemann, Hidde de Vries, Imelda Llanos, Jaeil Song, JaEun Jemma Ku, Jake Abma, Jan Jaap de Groot, Jan McSorley, Janina Sajka, Jaunita George, Jeanne Spellman, Jedi Lin, Jeff Kline, Jennifer Chadwick, Jennifer Delisi, Jennifer Strickland, Jennison Asuncion, Jill Power, Jim Allan, Joe Cronin, John Foliot, John Kirkwood, John McNabb, John Northup, John Rochford, John Toles, Jon Avila, Joshue O’Connor, Judy Brewer, Julie Rawe, Justine Pascalides, Karen Schriver, Katharina Herzog, Kathleen Wahlbin, Katie Haritos-Shea, Katy Brickley, Kelsey Collister, Kim Dirks, Kimberly McGee, Kimberly Patch, Laura Carlson, Laura Miller, Len Beasley, Léonie Watson, Lisa Seeman-Kestenbaum, Lori Oakley, Lori Samuels, Lucy Greco, Luis Garcia, Lyn Muldrow, Makoto Ueki, Marc Johlic, Marie Bergeron, Mark Tanner, Mary Ann Jawili, Mary Jo Mueller, Matt Garrish, Matthew King, Melanie Philipp, Melina Maria Möhnle, Michael Cooper, Michael Crabb, Michael Elledge, Michael Weiss, Michellanne Li, Michelle Lana, Mike Beganyi, Mike Crabb, Mike Gower, Nicaise Dogbo, Nicholas Trefonides, Nina Krauß, Omar Bonilla, Patrick H. Lauke, Paul Adam, Peter Korn, Peter McNally, Pietro Cirrincione, Poornima Badhan Subramanian, Rachael Bradley Montgomery, Rain Breaw Michaels, Ralph de Rooij, Rashmi Katakwar, Rebecca Monteleone, Rick Boardman, Roberto Scano, Ruoxi Ran, Ruth Spina, Ryan Hemphill, Sarah Horton, Sarah Pulis, Scott Hollier, Scott O’Hara, Shadi Abou-Zahra, Shannon Urban, Shari Butler, Shawn Henry, Shawn Lauriat, Shawn Thompson, Sheri Byrne-Haber, Shrirang Sahasrabudhe, Shwetank Dixit, Stacey Lumley, Stein Erik Skotkjerra, Stephen Repsher, Steve Faulkner, Steve Lee, Sukriti Chadha, Susi Pallero, Suzanne Taylor, sweta wakodkar, Takayuki Watanabe, Tananda Darling, Theo Hale, Thomas Logan, Thomas Westin, Tiffany Burtin, Tim Boland, Todd Libby, Todd Marquis Boutin, Victoria Clark, Wayne Dick, Wendy Chisholm, Wendy Reid, Wilco Fiers.

D.3 연구 파트너

이 연구자들은 Silver 연구 질문을 선택하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기꺼이 활용하도록 허락해주셨습니다.

D.4 후원 기관

이 출판물은 미국 보건복지부, 장애 및 독립생활·재활연구국(NIDILRR)으로부터 연방 자금 일부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최초 계약번호 ED-OSE-10-C-0067, 이후 계약번호 HHSP23301500054C, 현재는 HHS75P00120P00168. 본 출판물의 내용은 미국 보건복지부나 교육부의 견해 또는 정책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으며, 상품명, 상업 제품, 기관 언급이 미국 정부의 보증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E. 참고 문헌

E.1 규범적 참고문헌

[RFC2119]
RFC에서 요구 수준을 표시하기 위한 핵심 단어. S. Bradner. IETF. 1997년 3월. Best Current Practice. URL: https://www.rfc-editor.org/rfc/rfc2119
[RFC8174]
RFC 2119 핵심 단어의 대소문자 모호성. B. Leiba. IETF. 2017년 5월. Best Current Practice. URL: https://www.rfc-editor.org/rfc/rfc8174

E.2 참고용 참고문헌

[ATAG20]
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ATAG) 2.0. Jan Richards; Jeanne F Spellman; Jutta Treviranus. W3C. 2015년 9월 24일. W3C 권고. URL: https://www.w3.org/TR/ATAG20/
[ISO_9241-391]
인간-시스템 상호작용의 인간공학—Part 391: 광과민성 발작 감소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준수 시험 방법. 국제표준화기구. URL: https://www.iso.org/standard/56350.html
[SRGB]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장비 - 색상 측정 및 관리 - 2-1부: 색상 관리 - 기본 RGB 색공간 - sRGB. IEC. URL: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6169
[UAAG20]
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UAAG) 2.0. James Allan; Greg Lowney; Kimberly Patch; Jeanne F Spellman. W3C. 2015년 12월 15일. W3C 워킹 그룹 노트. URL: https://www.w3.org/TR/UAAG20/
[WCAG22]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2.2. Michael Cooper; Andrew Kirkpatrick; Alastair Campbell; Rachael Bradley Montgomery; Charles Adams. W3C. 2024년 12월 12일. W3C 권고. URL: https://www.w3.org/TR/WCAG22/
check close settings menu chevron-left chevron-right question info chevron-down share arrow-up refresh list list-open plus min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