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용어는 본문에서 정의되지만, 다음 용어 정의는 문서 전체에서 사용됩니다.
- 접근성 API
-
운영체제와 기타 플랫폼은 객체 및 이벤트 정보를
보조 기술에 노출하는 인터페이스 집합을 제공합니다. 보조 기술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해당 위젯 정보를 얻고 상호작용합니다. 접근성 API의 예로는 Microsoft
Active Accessibility [MSAA], Microsoft
User Interface Automation [UI-AUTOMATION], MSAA와 UIA Express [UIA-EXPRESS], Mac OS X 접근성 프로토콜 [AXAPI],
Linux/Unix 접근성 툴킷 [ATK] 및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vider Interface [AT-SPI], 그리고 IAccessible2
[IAccessible2] 등이 있습니다.
- 접근성 하위
트리
-
접근 가능한 객체와 해당 접근성 트리에서의
자손을 의미합니다. 다른 관계(예: 부모-자식이 아닌)로 연결된 객체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aria-flowto
로 연결된 객체는 해당 객체가 접근성 트리의 자손일 때만 포함됩니다.
- 접근성
트리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구조를 표현하는 접근 가능한 객체의 트리입니다. 접근성 트리의 각 노드는 접근성 API를 통해 노출되는 UI의 요소(예: 푸시 버튼, 체크박스, 컨테이너 등)를 나타냅니다.
- 접근 가능한
설명
-
접근 가능한 설명은 인터페이스 요소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하며, 접근 가능한 이름을 보완합니다. 접근 가능한 설명은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접근 가능한 이름
-
접근 가능한 이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이름입니다. 각 플랫폼 접근성 API는 접근 가능한 이름 속성을 제공합니다. 접근 가능한
이름의 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보이는(예: 버튼의 표시 텍스트) 또는 보이지 않는(예: 아이콘을 설명하는 텍스트 대체) 속성에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 관련 접근 가능한 설명도 참고하세요.
접근 가능한 이름 속성의 간단한 예는 "OK" 버튼에서 볼 수 있습니다. "OK"라는 텍스트가 접근 가능한 이름입니다. 버튼이 포커스를 받을 때, 보조 기술은 플랫폼의 역할
설명과 접근 가능한 이름을 연결해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리더는 "푸시 버튼 OK" 또는 "OK 버튼"이라고 읽을 수 있습니다. 연결 순서와 역할 설명의
구체적인 내용(예: "버튼", "푸시 버튼", "클릭 가능한 버튼" 등)은 플랫폼 접근성 API 또는 보조 기술에 의해 결정됩니다.
- 접근 가능한 객체
-
플랫폼 접근성 트리의 노드입니다. 접근 가능한 객체는 상태, 속성, 이벤트 등을 보조 기술이 사용할 수 있도록 노출합니다.
일반적으로 마크업 언어(HTML 및 SVG) 및 WAI-ARIA에서는 마크업 요소와 해당 속성이 접근 가능한 객체로
표현됩니다.
- 활성화
동작
-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주로 시작하는 이벤트가 요소에 정의된 역할을 수행하게 할 때 취하는 동작입니다. 역할은 호스트 언어 또는 저자가 정의한 변수,
또는 둘 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습니다. 역할은 일반적인 동작일 수도 있고, 해당 요소에 고유한 동작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ML 또는 SVG <a>
요소의 활성화 동작은
href
속성에 지정된 링크로 사용자 에이전트가 이동하도록 하며, 탐색할 브라우징 컨텍스트(현재 창/탭, 명명된 창, 새 창 등)를 추가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HTML <input>
요소에서
type
속성 값이 submit
인 경우, 활성화 동작은 폼 요소 값을 저자가 정의한 IRI와 HTTP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입니다.
- 보조 기술
-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 웹 콘텐츠를 검색하고 렌더링하기 위해 사용자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웹 콘텐츠 자체와 API를 통해
상호작용합니다.
-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웹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때 사용자 에이전트가 제공하지 않는 추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정의는 다른 문서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문서의 맥락에서 중요한 보조 기술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렌더링된 텍스트와 이미지를 확대해 읽기 쉽게 해주는 화면 확대기;
- 합성 음성이나 점자 디스플레이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크린 리더;
- 텍스트를 합성 음성으로 변환하는 텍스트-음성 소프트웨어;
- 음성 명령과 받아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 키보드를 시뮬레이션하는 대체 입력기(헤드 포인터, 화면 키보드, 단일 스위치, 입/숨 장치 등);
- 마우스 포인트 및 클릭을 시뮬레이션하는 대체 포인팅 장치.
- 속성
-
이 명세에서 속성은 마크업 언어에서와 같이 사용됩니다. 속성은 요소에 추가되어 해당 요소가 나타내는 객체의 상태와 속성 정보를 제공합니다.
- 클래스
-
유사한 특성을 공유하는 인스턴스 객체의 집합입니다.
- 사용 중단됨
-
사용 중단된 역할, 상태, 또는 속성은 최신 방식이나 상황 변화로 인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이후
WAI-ARIA 명세 버전에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에이전트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 사용 중단된 항목을 계속 지원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적합성 섹션의 사용 중단 요구 사항을 참조하세요.
- 데스크탑 포커스 이벤트
-
접근성 API를 통해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입력 포커스 변경을 알리는
이벤트입니다.
- DOMString
- 16비트 부호 없는 정수 시퀀스로, 일반적으로 UTF-16 코드 단위로 해석됩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String 타입에 해당합니다.
- 요소
-
이 명세에서 요소는 마크업 언어에서와 같이 사용됩니다. 요소는 마크업 언어에서 객체의 데이터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구조적
요소입니다.
- 이벤트
-
컴퓨팅 시스템의 다른 객체에 상태의 개별적 변화를 전달하는 프로그래밍 메시지입니다. 웹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문서
객체의 상태 변화를 알릴 수 있는 추상 이벤트를 통해 중재됩니다. 일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벤트를 알림(notification)이라고도 합니다.
- 노출하다
-
접근성 API에 플랫폼별로 번역되어 핵심 접근성 API
매핑에서 정의됩니다.
- 그래픽 문서
-
사용자가 탐색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 그래픽 표현을 가진 문서입니다. 차트, 지도, 다이어그램, 청사진, 대시보드 등이 그래픽 문서에 해당합니다. 그래픽 문서는 기호,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원시(원, 점, 선, 경로, 사각형 등)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숨김
-
요소가 모든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거나, 인지 불가 또는 상호작용
불가임을 나타냅니다. 요소 자체나 상위 요소 중 하나가 렌더링되지 않거나 명시적으로 숨겨져 있으면 숨김으로 간주됩니다.
- 정보 제공용
-
적합성을 위해 요구되지 않고 정보 제공을 위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적합성에 필요한 콘텐츠는 규범적이라고 합니다.
- 키보드 접근
가능
-
키보드 또는 키보드 입력을 모방하는 보조 기술(예: 입/숨 튜브)로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본 문서의
관련 내용은 WCAG 2.1 가이드라인 2.1: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이용 가능하게 하기 [WCAG21]을 참조하세요.
- 랜드마크
-
사용자가 빠르게 접근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특정 영역 유형입니다. 해당 영역의 콘텐츠는 페이지의 다른 영역과 다르며, 탐색, 검색, 주요 콘텐츠 열람 등 특정 사용자 목적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 라이브 리전
-
라이브 리전은 일반적으로 외부 이벤트로 업데이트되는 웹 페이지의 인지 가능한 영역입니다. 이러한 영역은 항상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로 업데이트되는 것은 아닙니다. 라이브
리전의 예로는 채팅 로그, 주식 시세 표시기, 경기 통계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스포츠 점수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비동기 영역은 사용자의 포커스 영역 이외에서
업데이트되므로,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이 그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처리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WAI-ARIA는 저자가 라이브 리전을 식별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aria-live, aria-relevant, aria-atomic, aria-busy 속성 집합을 제공합니다.
- 주요 콘텐츠
요소
-
구현 호스트 언어의 주요 콘텐츠 요소로, HTML의 경우 body
요소 등이 해당합니다.
- 관리되는 상태
-
접근성 API 상태 중 사용자 에이전트가 제어하는(예:
포커스, 선택 등) 상태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저자가 제어하는 "관리되지 않는 상태"와 대비됩니다. 하지만 저자는 aria-posinset, aria-setsize와 같은
일부 관리되는 상태를 덮어쓸 수 있습니다. 많은 관리되는 상태는 :focus 등의 CSS 의사
클래스 및 ::selection과 같은 의사 요소에 대응하며, 이 역시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갱신됩니다.
- 네메스 점자
-
네메스 점자 수학 코드(Nemeth Braille Code for Mathematics)는 수학 및 과학 표기법을 점자로 인코딩하는 점자 코드입니다. 네메스 점자 위키백과.
- 노드
-
DOM 트리 또는 접근성 트리에서 객체의 기본 유형입니다. DOM 노드는 요소 또는 텍스트 노드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접근성 트리의 노드는 접근 가능한 객체입니다.
- 규범적
-
적합성에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정보 제공용 또는 "비규범적"으로 표시된 콘텐츠는 적합성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 객체
-
사용자 인터페이스 맥락에서, 마크업 언어에서 하나 이상의 요소로 표현되며,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렌더링되는 지각적 사용자 경험의 항목입니다.
프로그래밍 맥락에서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이며, 유사 객체의 일반 특성을 정의합니다. 접근성 API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DOM 객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접근성 API는 DOM 인터페이스와 구분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 온톨로지
-
클래스의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를 설명한 것입니다.
- 조작 가능
-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본 문서의 관련 내용은 WCAG 2.1 원칙 2: 콘텐츠는 조작 가능해야
함 [WCAG21]을 참조하세요. 키보드 접근 가능도 참고하세요.
- 소유된 요소
-
소유된 요소는 DOM 내에서 요소의 자손, aria-owns
로 지정된 자식, 또는 소유된 자식의
DOM 자손을 의미합니다.
- 소유하는 요소
-
소유하는 요소는 DOM 내에서 요소의 상위 요소, 또는 aria-owns
속성이 해당 요소의 ID를 참조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 인지 가능
-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현된 것을 의미합니다. 본 문서의 관련 내용은 WCAG 2.1 원칙 1: 콘텐츠는 인지 가능해야
함 [WCAG21]을 참조하세요.
- 속성
-
특정 속성 중 객체의 본질적 특성이나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속성 변경은 객체의 의미 또는
표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속성(예: aria-multiline
)은 상태보다 변동이 적지만, 변경 빈도의 차이가 규칙은
아닙니다. aria-activedescendant
, aria-valuenow
, aria-valuetext
등 자주 바뀌는 속성도 있습니다. 상태와 속성 구분도 참고하세요.
- 관계
-
두 개의 구별되는 사물 간의 연결입니다. 관계는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라벨링하거나, 제어하는 등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역할
-
타입의 주요 지표입니다. 이 시맨틱 연결은 도구가 객체 유형에 대한 사용자 기대에 부합하도록
객체를 표현하고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합니다.
- 루트 WAI-ARIA 노드
-
비메타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많은 언어에서는 문서 요소가 해당되지만, HTML에서는 <body>
가 해당됩니다.
- 시맨틱
-
사람이 이해하는 의미를, 컴퓨터가 객체(예: 요소, 속성 등)의 표현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정의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람이 객체를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상태
-
상태는 속성의 동적 형태로, 객체가 사용자 동작이나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상태는 객체의 본질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객체와 사용자 상호작용 가능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상태와
속성 구분도 참고하세요.
- 서브 문서
-
<frame>
, <iframe>
또는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생성된 모든 문서입니다. 서브 문서는 다른
서버에서 가져온 캘린더와 같은 위젯, 애플리케이션, 일반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접근성 트리에서는
이 상황에 대해 두 개의 접근
가능한 객체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부모 문서의 <frame>
/<iframe>
요소를
나타내며, 그 자식으로 파생된 문서 콘텐츠를 나타내는 접근 가능한 객체가 있습니다.
- 대상 요소
-
WAI-ARIA 관계에서 지정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div aria-controls=”elem1”>
에서 “elem1”
이 대상 요소의 ID입니다.
- 분류체계
-
여러 클래스의 특성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계층적으로 정의한 것으로, 계층 내에서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속성을
상속합니다. 분류체계는 온톨로지의 공식 정의의 일부가 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노드
-
DOM 노드의 한 종류로, 속성 또는 요소의 텍스트 콘텐츠를 나타냅니다. 텍스트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습니다.
- 툴팁 속성
-
데스크탑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마우스 오버 등의 동작에 반응해 툴팁을 생성하는 모든 호스트 언어 속성입니다.
- 이해 가능
-
사용자가 적절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표현된 것을 의미합니다. 본 문서의 관련 내용은 WCAG 2.1 원칙 3: 정보와 UI 동작은 이해
가능해야 함
[WCAG21]을 참조하세요.
- 유니코드 점자 패턴
-
유니코드에서 점자는 Braille Patterns(U+2800..U+28FF) 블록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 블록에는 8점 점자 셀의 모든 256가지 패턴이 포함되어 있으며,
6점 셀 범위(U+2800..U+283F)도 포함합니다. 모든 점자 시스템에서 dots-0(U+2800)은 공백이나 내용 없음(빈 점자 패턴)을 나타냅니다. 점자 패턴 위키백과.
- 사용자 에이전트
-
웹 콘텐츠를 검색, 렌더링하고 최종 사용자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이 정의는 다른 문서의 정의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유효한 IDREF
-
같은 문서 내에서 일치하는 ID를 가진 대상 요소에 대한 참조입니다.
- 위젯
-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입니다. 위젯은 하나의 값이나 동작만 가진 단순 객체(예: 체크박스, 메뉴 항목)부터, 여러 관리되는 하위
객체를 포함한 복잡 객체(예: 트리, 그리드)까지 다양합니다.